top of page

Metonymy
June 5 – June 17, 2024 | Galerie Gaia (Seoul, South Korea)

Metonymy explores the intricate entanglement between nature and identity, crafting surreal portraits and hybrid creatures from flora and fauna. Each piece is a meditation on the interdependence of living beings, where plants, animals, and human forms merge seamlessly. Inspiration is drawn from ecosystems both real and imagined, reassembling elements of the natural world into fantastical configurations. Lush vegetation becomes flesh, petals transform into faces, and animal forms blend seamlessly into botanical textures.

The process for creating each piece is meticulous yet playful; dense layers of detail evoke the richness of life, while allowing unexpected juxtapositions to emerge. Bright, saturated colors and mixed media textures invite the viewer to look closer in order to find new meanings in the organic complexity.

The work is an homage to nature’s resilience and strangeness—a visual reminder that people, too, are part of the ever-evolving tapestry of life.

Focusing on the 21st Century

〈Metonymy(환유), Hryanskim Exhibition | 2024.6.5~17 | Gallery Gaia〉

We Have Our Own Ecosystem!!

By Lee Ju-hee, Art Critic

 

A body composed of plant epidermis. A plant’s reproductive organ bearing a golden vessel is a flower. A life form composed of bird (avian) ecology and plant forms—this is another organism. The paintings of Hryanskim in this exhibition titled Metonymy present images that encompass not only directly recognizable forms but also a broad perceptual system, including the unrecognizable or seemingly absurd, depicting life forms that lie between the real and the imagined.

In his work Carnisation, for example, one can see images that resemble the vascular tissues of plants and the pistil and stamen of flowers, and the tactile sensation of flesh can be felt, evoking associations of plant life and natural forms. These forms are familiar yet unfamiliar, creating a hybrid image that challenges perceptual boundaries. Although the image may seem chaotic, the viewer reorganizes it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The term “system” does not arrive through reason, but rather through intuitive perception, as an experiential visual cognition. In this way, the viewer perceives a phenomenon that transcends traditional human-centered perspectives.

From a biological standpoint, the term “system” refers to the structure that changes and evolves into something similar to a contract or agreement. Such systems a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 and evolution, which implies that the system is a stage where life forms go through creation and development.

Whether it is creation or evolution is a matter of debate, but such a perspective extends from biology into the discourse on art. As the boundary between the artist and the creative act of the work becomes increasingly blurred,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henomena of contemporary art and artworks are created or evolved raises a new existential perspective on art. Hryanskim’s method of showing the existence of things through unfamiliar situations could be one way of appreciating his work, suggesting that the work itself also exists independently.

In his piece Carcinisation, the word “system” doesn’t just refer to a fixed framework, but rather presents a phenomenon of transformation. In this sense, the term “carcinisation”—originally referring to the evolutionary tendency of crustaceans becoming crab-like—is reinterpreted as a metaphor for the transformation of living systems and ecological relationships. Thus, this work can be read as a process where each living organism expresses its own ecosystem by partially transforming into something else.

Living systems do not possess a singular and rigid movement pattern, but rather show flexible adaptive changes depending on their environment. The exhibition demonstrates how these living systems, when faced with new and unfamiliar situations, can evolve toward survival. In this analytical context, Hryanskim’s exhibition reveals works that encompass the vitality of transformed and evolving living organisms, portraying images that hold the will to live through their changes.

Hryanskim’s exhibition can be seen as a body of work that not only shows his artistic worldview, but also presents the unique biological system he has constructed.

Moving forward, Hryanskim positions himself within the context of “posthuman” art. In the late 20th century, artists like Orlan, Joseph Beuys, the leaders of Gutai Art, and the pioneers of Bio-Art such as Eduardo Kac and Stelarc, emerged as explorers of new artistic terrains. These artists attempted to overcome the futility and despair brought on by the collapse of traditional values and sought new artistic practices to cope with the human condition.

Their works, which opened new questions on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left a significant impact on contemporary art history and marked a turning point in the evolution of visual art.

Now,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into the early 21st, a new generation of artists has emerged—those whose artistic identities are shaped by a fluidity that resists categorization. While we cannot definitively label this generation, one clear fact is that they are navigating a much broader and more diverse visual culture than previous generations.

They move freely across different art histories and embrace contemporary visual languages with ease. Hryanskim also belongs to this new era. He draws using the expressive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art, creating images that evoke feelings of both fascination and discomfort—without relying on fixed templates, patterns, or decorative repetition.

His paintings are not only beautiful, but reveal deep questions about identity, gender, nature, and the boundaries of the self.

Before even delving into the content of his work, one senses a powerful, album-cover-like intensity and sonic rhythm from the paintings. That resonance draws from the tension between the surreal and the hyper-real—modern-day methods that align with a posthuman aesthetic. In the end, this contemporary sensibility signals the presence of a fluid ecosystem made possible by a transformed understanding of life and art.

In this exhibition, the works Femme Fatale and Harpy resemble humans but are not quite human. They appear humanoid, yet contain visible traits of non-human life forms. In Femme Fatale, we see a figure with green, plant-like skin and muscles formed of floral and botanical structures—evoking both beauty and strangeness.

From a human perspective, this may seem grotesque or uncanny, but from a broader biological view, it reveals the possibility that beauty exists across many forms of life. The term “femme fatale” traditionally refers to a seductive, dangerous woman—but in this context, it challenges that notion and proposes that all living things possess some degree of allure.

Harpy, traditionally considered a half-bird, half-human mythological creature with a violent, vengeful nature, is reimagined. The figure is fused with tree branches and plants, its hair adorned with roots, fungi, and parasitic blooms. This hybrid figure creates a space called “Latimeria” (a reference to a prehistoric fish), which becomes a symbol of biological blending and the coexistence of species.

In this way, these works do not merely depict hybrid creatures, but also suggest new perceptual systems that challenge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life. To accept this new biology, a new way of seeing—and even a new kind of intelligence—is required. Hryanskim’s work invites us to recall a primal memory, a dreamlike sense that we are not alone in our thinking and perception.

When analyzing other works like Paranoia, Crocodile Tears, and Hermit, we meet unfamiliar life forms that reveal new behaviors and reactions unlike anything we’ve seen before. If Femme Fatale and Harpy explore the diversity of human attributes through hybridized beauty, then Hermit presents non-human beings in active, expressive forms.

Each piece reflects a specific cognitive and emotional focus: Paranoia evokes obsessive introspection, Crocodile Tears refers to deceit and performative emotion, and Hermit addresses isolation from daily life and withdrawal into non-human realms.

These figures abandon familiar behavior patterns and lead us to reinterpret our understanding of image, form, and cognition. As mentioned earlier, Hryanskim’s work resists mechanistic or strictly modernist interpretations. Rather, his imagery activates more primal, sensory responses rooted in lived experience—enabling a more fluid, embodied way of appreciating visual art.

The hybrid beings in his work are not meant to be identified or classified by traditional taxonomies. Instead, the most important part of his process is to maintain the curiosity and intrigue of painting. His creative process involves constant experimentation—bringing in new materials, techniques, and energies into the act of painting itself.

This flexibility gives rise to unpredictable joy in both the artist and the viewer, offering a rare moment of aesthetic pleasure and surprise.

Hryanskim’s vision is not simply one of biological change or metamorphosis, but also a philosophical one. Each creature he portrays embodies a different mode of being, challenging not only scientific definitions but also artistic boundaries. In doing so, he reminds us that art, too, evolves alongside life.

If life forms evolve to adapt to changing ecosystems, then art, too, must adapt and evolve to express the expanded possibilities of human and non-human existence.

His work shows us how newly imagined beings might awaken us to new ways of understanding the self—making his exhibition not just a visual experience, but a powerful reflection on our place in a rapidly changing world.

21세기를 주목한다 – 갤러리 가이아

〈Metonymy(환유)〉, Hryanskim 展 | 2024.6.5~17 | 갤러리 가이아

우리에겐 우리의 생태계가 있다!!

이주희 미술평론가

 

식물 이파리로 신체가 구성된 게, 금관악기의 기관을 달고 있는 나팔꽃, 반인반조(半人半鳥)의 생체와 식육식물을 이목구비가 이루어진 또 다른 생명체. 라이언 킴(Hryanskim)의 화면에는 인지되는 것과 인지되지 않는 것, 믿어도 되는 것과 믿으면 안 되는 것 사이의 생명체로 보이는 것들이 등장한다. 우리말로 환유로 역역될 수 있는 ‘Metonymy’라는 전시명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라이언 킴은 그림을 보는 행위로서 직관적인 인지가 가능한 화면이 아니라 넓은 인식 체계를 동원해야 입체적으로 받아들여져 보이는 화면을 제시한다.

 

〈Carcinisation 계화(蟹化)〉 이름 붙은 작품에서 식물의 이파리와 꽃잎의 수술, 꽃잎과 더불어 갑각으로 이뤄진 게 하나의 식물에서 쉽게 보였던 천연색으로 뒤덮인 기형상의 생명체를 볼 수 있다. 형상의 부분은 유기성 실만큼만 면역, 전체적으로 인지되지 않는 요소들이 모여 계의 상을 이루고 있지만 관람자는 자신의 지식과 관습적 이해 등을 바탕으로 환유해 그것이 ‘게’라는 인지에 이르게 된다. 작품을 보는 행위로서 직관적이고 경험적인 시각적 인지보다 관습적이고 보편적인 해석로 사회화하는 인지 현상을 경험할 수 있다. 생물학의 관점에서 ‘계화’라는 단어는 계와 비슷한 모습으로 변화하고 진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계화’의 개념은 종종 창조와 진화라는 관점에서 논의된다. 이는 계라는 생명체가 종이 창조된 것인지 수렴·진화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인데 이러한 관점을 생물학을 지나 예술에 대한 논의로 옮겨 오더라도 예술가와 작품의 창조와 진화에 대한 물음이 가능한 만큼이나 예술가의 존재론에 대한 시선을 성립하게 한다. 다연적인 예술의 존재에 대한 논의는 차치하더라도 라이언 킴의 화면 속 상황들이 중첩적으로 보이는 것들의 존재 양태를 환유해 보는 것은 작가의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으로 존재하게 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작가는 작품〈Carcinisation 계화〉로 ‘계’라는 짐칭 나아가 ‘어떠한 계’라는 수사적 계계를 제시하기보다는 ‘계화’라는 현상의 운도태를 제시한다. 이렇게 ‘계화’라는 현상의 운도는 생명체가 지닌 진화의 의지로 받아들일 수도 이러한 의지를 유유히 찾는다면 그것이 한 생명체가 자신의 생존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를 변형하고자 했기 때문일 수 있다. 생명체에게는 ~~~라는 운동법의 성질이 내재하고 그러한 운동법가 타성적인 것이 아니라 각자의 성장을 지나면서 그것은 더욱이 한 생명체가 현 상황보다 유리한 상황을 위해 자의적이나 진화하기 위함이라고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파악의 연장선에 라이언 킴의 이번 전시는 생명체들이 지닌 생의 의지를 보여주는 전시이자 변화와 진화의 운동법을 지닌 화면 작품들은 보여주는 전시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라이언 킴 자신의 ‘사회화’와 ‘작업 윤리’를 응축, 요셉 보이스, 게르하르트 리히터, 제오르그 바젤리츠 같은 예술가들은 20세기 탄생으로 현재 예술계의 탐험가가 되었다. 이들의 폭풍혼을 동반한 인간의 욕망으로 말미암은 전 세계의 절망과 파괴와 절망을 목격했으며 허무와 실의를 극복하기 위한 예술과 삶을 고민했던 것이다. 그러했던 그들의 예술이 인간 존재의 의미와 삶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가능하게 했고 이러한 예술의 순기능이 아직은 이들의 예술계의 탐험가이자 거대한 영향력을 지닌 예술가로 자리 잡게 했다. 이후 무겁게 경착하며, 기록되었거나 기록되지 못한 역사와 함께 시간이 흘러 20세기 후반, 21세기 전반 태생의 예술가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렇게 새로운 시대의 예술가들을 별써 무엇이라 분류하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몇 가지 확실한 사실은 새로운 시대의 이들은 과거의 예술가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넓고 유연한 시공간을 경험하고 있으며 정리된 문명과 가공된 기술의형의 역사를 취사선택하며 다양한 현대성을 즐기고 있다는 것이다.

 

라이언 킴 역시 새로운 시대의 예술가에 해당한다. 그 역시 그가 선택할 수 있었던 다양한 현대성을 바탕으로 그림을 그린다. 작가는 회화와 콜라주, 디지털 드로잉과 프린팅, 마블링과 흘리기, 패턴의 생성과 재배열 등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미지를 만든다. 미술의 영역에서 전통적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붓질과 질감의 형성, 점·선·면에 대한 자신의 이해 등을 드러내는 예술활동뿐 아니라 자신의 의욕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하고 싶은 일과 그리고 싶은 것을 그리는 일. 그의 화면 전반에서 머무르기보다 도전과 열정이 느껴지는 것도, 화면에서는 메탈밴드의 앨범 커버 같은 힘과 들뜸감이 느껴지는 것도 작가가 지닌 다양한 현대성과 자유방랑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결국 작가가 지닌 다양한 현대성이라는 것은 다양한 생명체로의 변화하고 다연적인 존재가 된 예술의 존재론인 것이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Femme Fatale 팜므파탈〉과 〈Harpy 하피〉에는 인간처럼 보이지만 인간 같지 않은, 변장이라고 해도 어느 정도를 넘어서 인간적 특징이 현저히 줄어든 생명체가 보인다. 이 중〈Femme Fatale〉에 등장하는 여성(femme)에겐 초록색 피부에 돋아난 식물과 식충식물로 근육을 구성하는 모습들이 보인다. 인간의 관점에서는 매력적이라고 볼 수 없는, 이렇듯 작가 여성의 모습에서 대다수 인류의 규범을 벗어나 있지만 어디선가 어떤 생명체에 친밀감이 들도록 모호한 아름다움의 존재를 가능케 볼 수 있다. 또한 신화적 치명성(fatale)을 떠오르게 하는 성징이라는 뜻을 지닌〈Harpy〉의 모습에는 기존의 반인반조(半人半鳥)에서 착상되었던 하피와는 달리 화면 속에 나무와 가지가 우거져 식물적 요소들이 첨가된 하피가 보인다. 익와 함께 엉켜있는 긴 머리와 독수리처럼 보이는 몸뚱이의 도상으로 인해 라탄테마리카라는 시공간도 느낄 수 있는데 이로써 다양한 종들이 합쳐지는 신화적 캐릭터인 한편에 식물적 속성과 라탄테마리카라는 시공간적 특징이 결합한 존재로 우리에게 제시된다.

이처럼 익숙한 얼굴은 안 되는 것 같아도 해체되듯이 않지만 우리의 인지 체계에 작용하는 최소한의 얼굴로 읽히는 이 생명체의 낯섦은 우리가 익숙히 느껴지는 기존의 이해와 존재방식에서 벗어난 생명체들이 환기하면서 자신의 또 다른 생태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은 새로운 생태계를 받아들이기 위해선 새로운 이해방범이자 인식론이 필요할 것이다. 걱정하게 말하자면 라이어 킴의 화면에는 기존의 이해와 다른 새로운 인식론이 생겨나고 있음을 느끼며 기성의 시선에 보이는 화면을 정전부가 아님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파악의 연장에서〈Paranoia 편집증〉,〈Crocodile Tears 악어의 눈물〉,〈Hermit 은자〉같은 작업을 살펴보게 된다면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방법으로 기묘하게 살아 있는 생명체들을 만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던〈팜므파탈〉〈하피〉가 인간의 모습에 다양한 속성을 더해 새로운 인간상의 아름다움을 보여주었다면〈편집증〉과〈악어의 눈물〉,〈은자〉는 동식물의 모습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며 그들만의 존재 해답을 보여준다. 각각의 작업은 그것들이 지닌 이름 때문에 특정한 방향으로 이해되곤 한다. 편집증이라는 단어에서는 집중과 고민의 모티프를, 악어의 눈물이라는 단어에서는 거짓과 위선의 현장을, 은자라는 단어에서는 일상을 벗어난 행동양식을 읽어내며 우리의 이해와 동일한 화면을 기대하게 한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 라이언 킴의 작업에는 근대적인 인간과의 논리가 작동하지 않게끔 문자적 지닌 의미를 지나 보다 유연한 상상력을 가지고 그림 전체를 감상하는 것이 오히려 유효한 감상법이 된다.

작가는 화면에 등장하는 생명체들의 아이덴티티를 조합하고 생성해 그림을 그려 나가는 데 특정한 법칙을 두지 않는다고 한다. 오히려 그의 작업에 가장 유효한 창작 프로세스는 작가의 흥미와 재미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림을 그리는 과정 중에 그림 속에서 새로운 전개를 시도하고 그것들이 남의 것이 아닌 또 다른 영감을 얻는 것.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의미와 재미를 느끼며 그림을 완성해 나아가게 하는 일과 순간을 함께할 수 있는 이들이 늘 함께 했으면 한다. 이것이 라이언 킴과 주변 예술가들이 생존하는 방식이자 새로운 세대들이 자신들의 생태계를 떠올리는 방식이다.

21세기 진화론을 주장한 다윈은 그의 저서 『종의 기원』에서 지구상의 다양한 생물체들은 외형과 습성이 다르지만, 이들이 속한 각각의 종들에는 그들만의 변이와 생존투쟁 방법이 있다고 말한다. 또한 각각의 종들이 지닌 본능과 보는 감의 유연관계 역시 다르다고 이야기한다. 예술 또한 거대한 개념과 함께 수많은 종류를 파생시키며 인간의 다양함 본능을 일깨워 왔다. 예술가들 역시 자신의 본능을 전환시키며 ‘작가화’를 이루어 왔다. 생명체들의 변이와 생존투쟁 방법과 각각의 유연함을 이해하여야 하는 만큼 예술의 영역에서 생명체로 작가와 작가화 역시 관습적이고 보편적인 이해를 가진 인간으로의 시작과가 아닌 새로운 본능과 변이의 가능성을 지닌 존재로 거듭나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라이언 킴의 화면으로 우리 앞에 등장한 생명체들을 새로운 생태계를 구성하는 존재들이자 새로운 시대 본능을 일깨워 줄 은자들로 바라볼 수 있는 이유이다.

bottom of page